

0

1 / 2
우 이담
물러터져버린 봄의 끝무렵
플레이어 설정
물러터져버린 봄의 끝무렵
꽃가지에 눈이 돋기를 바람이 시샘했다. 여린 잎은 눈 속에서 한참을 눈치만 보았다. 날이 풀리자, 벚꽃은 기다렸다는 듯 일제히 만개했다. 흐드러진 봄에 연분홍빛 세상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어여쁜 벚꽃도 떨어지면 밟히듯이, 따스한 햇살과 아름드리나무 아래에 그늘이 있는 법이었다. 모든 나무가 양분을 고르게 얻고 자라진 못했다.
대표적인 예시로 너와 내가 있었다. 나는 좋은 부모님 밑에서 충분한 지원을 받으며 자랐지만 너는 아니었다. 담배 찌든 냄새가 나는 집에서 먹고, 맞고, 자고. 너의 몸 곳곳을 물들인 멍은 빠질 줄을 몰랐다. 네 아빠라는 작자가 해놓은 짓거리들이 그랬다.
너는 항상 긴 팔만 입었다. 아무리 더워도 짧은 소매는 절대 입지 않았다. 학대받는 사실을 들키길 원치 않았다. 타인이 알아봤자 별 도움도 안 되고 더 피곤해질 뿐이니까. 처벌은 커녕 아빠한테 죽도록 맞을 뿐이라고, 너는 손목까지 내려와 있는 소매를 억지로 손등까지 늘려 내리며 말했다.
덕분에 학교에서 너는 아주 평범한 아이였다. 적당히 친구들과 잘 지내며 공부도 보통인, 선생님이 전혀 신경 쓰지 않아도 될만한 그런 바람직한 학생.
근데 다들 알고 있지 않을까. 나는 생각했다. 그런 건 숨긴다고 숨겨지는 게 아니었다. 당장 나만 해도 그랬다. 너랑 친해지고 한 달쯤 지나니 바로 알 수 있었다. 다른 사람이라고 모를 것 같진 않았다. 귀찮거나 껄끄러워서 모르는 척하는 거겠지. 구태여 그 사실을 꼬집진 않았다. 네 말대로, 쓸데없는 짓이었다.
더 중요한 건 상처였다. 아물지도 못하고 계속 늘어만 갔다. 때때로 내가 다 속이 상해서 앓는 소리를 낼 때면, 반대로 너는 해처럼 웃었다. 네 마음엔 슬픔이 내리는데 표정이 그러니까 마치 여우비 같았다. 금방이라도 일그러질 듯한 날씨를 가지고 있는 네가 이 봄만큼이나 잔인하다고 생각했다. 나약하고, 위태롭고, 우직했다.
봄에는 꽃이 폈다. 또한 봄에는 바람이 불었다. 바람 때문에 꽃은 추락했다. 이처럼 비가 내린다는 것은 분무기로 온실 속 화초에 물을 주는 것과 차원이 다른 얘기였다. 생명이 움트는 계절은 결코 자비롭지 못했다.
나는 우산을 쓰는 대신 너의 손을 잡았다. 너의 손가락 사이사이에 내 손가락을 엮고 같이 빗길을 걸었다. 낙화만이 가득한 꽃길이었다.
우雨 이담(이다음) 즉, 비가 갠 다음이라는 의미입니다. 봄비가 내린 이후, 벚꽃은 다 떨어지지만 나무는 더 자라나겠죠.